라인 스토어에서 판매된 욱일기 소재 이모티콘 '양키고양이'. 3일 법률방송뉴스 보도 이후 스토어에서 사라졌다.
라인 스토어에서 판매된 욱일기 소재 이모티콘 '양키고양이'. 3일 법률방송뉴스 보도 이후 스토어에서 사라졌다.

[법률방송뉴스] 일본 최대의 모바일 메신저 '라인'이 욱일기 이모티콘 판매(법률방송뉴스 3일 단독 보도 '네이버 일본 자회사 라인, 이번엔 욱일기 논란... 일본 네티즌 "유대인 회사가 나치 로고 쓰는 꼴")로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국내 네티즌들 사이에서 라인의 모기업인 네이버에 대판 비판이 일고 있다.

4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라인의 '반한' '혐한'으로 비칠 수 있는 이모티콘 판매 논란이 큰 이슈가 됐다. 네티즌들은 라인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네이버를 성토하면서 "불매운동에 나서야 한다"고까지 목소리를 높였다. "문재인 대통령 조롱 이모티콘 판매 논란 한 달도 안돼 욱일기 이모티콘 판매 행위까지 벌어졌다"며 "이 정도 되면 실수가 아니라 고의"라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한 네티즌은 "라인이 아무리 본사가 일본에 있다 해도 이건 진짜 너무한 것 아니냐"며 "일본인들끼리 저 이모티콘을 퍼트리고 쓰면서 낄낄대는 걸 지원하는 건데, 이제 네이버도 불매해야겠다"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또 다른 네티즌은 "네이버는 일본 기업과 마찬가지"라며 "전범국의 공범 짓까지 하고 있는 네이버 본사를 일본으로 옮겨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라인 측은 지난달 문 대통령 조롱 이모티콘 논란 당시 언론을 통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재발 방지를 엄수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또다시 욱일기 이모티콘 판매 사실이 보도되면서 국내 네티즌들의 시선은 싸늘해진 상태다.

라인의 욱일기 이모티콘 판매는 법률방송뉴스 보도가 나간 직후 중단됐다. 그러나 온라인에서는 '라인 내부에 일본 우익에 동조하는 직원이 존재하고 있다'는 음모론까지 확산되는 모양새다.

네이버는 카카오톡이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선점하자 해외로 눈을 돌려 일본에 자회사를 설립하고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선보였다. 라인은 일본 최대 메신저 서비스로 성장했고 게임, 간편결제, 사진, 영상통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하면서 종합 모바일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일본 도쿄 신주쿠 소재 '라인' 건물 외경. /구글 캡처
일본 도쿄 신주쿠 소재 '라인' 건물 외경. /구글 캡처

일본의 라인 월 이용자는 8천만명에 달하며, 전 세계 라인 이용자(약 1억8천700만명)의 42%를 차지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본 라인 이용자들은 라인의 모기업이 한국 기업인 네이버라는 것을 잘 모른다.

지난 7월 이후 한일 갈등이 깊어지면서 IT업계의 일본 진출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을 때, 네이버 관계자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지만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할 정도로 자신감을 내비쳤다. "라인은 이미 별도로 상장한 일본 기업이고 일본에서 상당히 오랜 기간 서비스해왔기 때문에 심각하게 보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네이버의 다른 관계자도 "라인은 일본에서 한국 기업이라는 이미지보다 글로벌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며 "일본은 물론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에도 진출하면서 특정 국가의 모바일 플랫폼이라는 인식이 엷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라인은 네이버가 지분 72.64%를 보유한 자회사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한국 기업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일본과 동남아 지역에서 주요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나아가 CEO와 직원 대부분이 일본인이라는 점 때문에 일각에서는 일본 기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해진 네이버 GIO도 이 문제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지난 2016년 라인 상장 당시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라인은 한국이 아닌 미국과 일본에 상장됐다"며 "라인은 일본 도쿄에 본사가 있고 의사결정 시스템을 봐도 이사회 구성원의 과반수가 일본인이다. 즉 라인은 일본 기업이라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한국 토종 기업인 네이버의 자회사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임에도 한일관계 문제가 불거지면 라인이 일본 기업에 가깝다고 주장하는 네이버의 입장에 대해 일각에서는 "모호한 네이버의 라인 경영 방침이 욱일기 이모티콘 사태 등 거듭되는 문제의 시발점이 아니겠느냐"고 비판하고 있다.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뒤늦게 수습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이제라도 명확한 정체성을 갖고 국내 대일 정서에 맞는 서비스 제공에 나서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법률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