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명 평균 21억 6천만원... 양승태 대법원장 41억 9천만원
김수남 검찰총장 23억 1천만원, 강일원 헌법재판관 27억4천만원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퇴직자 재산 공개... 392억 6천만원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3일 고위공직자 1천800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 신고 내역(지난해 12월 31일 기준)을 관보에 공개했다.

재산공개 대상자는 장·차관급 고위공무원, 대학 총장, 고위공무원단 등 중앙부처 등에 소속된 공직자가 701명, 광역·기초단체장과 시·도립대 총장, 시·도 교육감 등 지방자치단체 등에 소속된 공직자가 1천99명이다.

이번 재산공개에서 법원과 헌법재판소, 법무부, 검찰 등의 재산공개 대상인 차관급 이상 법조계 고위공직자 233명의 평균 재산은 21억 6천448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1억 5천795만원 증가한 수치다.

 

대법원 전경. /최준호 기자

 

법조계 100억대 자산가 5명... 최상열 서울고법 부장판사 158억원으로 1위

법조계 고위공직자 가운데 최고 부자는 최상열(59·사법연수원 14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158억 1천896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법조계에는 보유 재산 100억원이 넘는 부자 명단에 2명이 새롭게 이름을 올리면서 모두 5명이 됐다. 전부 고위직 판사다.

최 부장판사는 2010년 재산공개 때부터 6년간 줄곧 법조계 1위 자리를 지키다 지난해 '넥슨 주식' 파문의 당사자 진경준 전 검사장에 밀려 2위로 내려앉았다. 그러나 진 전 검사장이 검찰을 떠나면서 다시 1위가 됐다.

2위는 김동오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157억 1천498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그 뒤를 이어 윤승은 대전고법 부장판사가 142억 4천555만원으로 3위다. 배우자 상속으로 1년 사이 29억원이 늘어난 김용대 서울고법 부장판사는 128억 8천21만원을 신고해 4위에 올랐고, 조경란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128억 7천6만원으로 1천만원 차이로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재산이 50억원이 넘는 고위 법관은 12명에 달했다.

 

대법관 평균 재산 22억 9천466만원... 1위 김용덕 대법관 48억 2천756만원  

대법관들의 평균 재산은 22억 9천466만원으로 나타났다.

김용덕 대법관이 48억 2천756만원을 신고해 대법관 가운데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고, 양승태 대법원장은 41억 9천045만원을 신고했다.

재산이 10억원이 안되는 대법관은 김신, 김창석, 조희대 대법관 등 3명으로 각각 8억 2천173만원, 9억 3천441만원, 9억 8천912만원을 신고했다.

재산공개 대상 법관 가운데 재산이 가장 적은 판사는 천대엽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2억 1천664만원을 신고했다. 윤성원, 윤종구 서울고법 부장판사도 3억원 미만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부·검찰 평균 18억원... 양부남 광주고검 차장검사 50억원으로 최고

법무부와 검찰의 검사장급 이상 고위 간부 51명은 평균 18억원 정도의 재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하게는 18억 824만원이다

전년도 공개 대상자 41명의 평균재산 19억 2천48만원과 비교하면 5.8% 줄어든 것이다.

법무부와 검찰을 통틀어 최고의 부자는 양부남 광주고검 차장검사로 50억 9천29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양 차장검사는 배우자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병원 수입이 늘어나면서 지난해보다 재산이 4억 1천602만원 늘었다.

2위는 노승권 서울중앙지검 1차장검사로 49억 6천762만원을 신고했다. 이어 장인종 법무부 감찰관(48억 274만원), 정점식 대검 공안부장(45억 1천987만원), 권익환 법무부 기획조정실장(43억 7천74만원), 구본민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이사장(40억 4천104만원) 순이었다.

자산 총액 10억원 이상 간부는 33명, 20억원 이상 자산가도 15명에 달했다.

김수남 검찰총장은 23억1천29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보다 4천823만원 늘어난 수치다.

이창재 법무부장관 직무대행(차관)은 2천156만원 상승한 7억3천657만원을 신고했다.

법무부·검찰 간부의 전년 대비 평균 재산 증가액은 1억1천839만원이었다.

오세인 광주고검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법무부와 검찰 간부 가운데 유일하게 자산보다 채무가 많은 것으로 신고했다. 오 고검장의 신고 재산은 -3억 231만원으로, 예금 증가 등으로 재산이 1억원 가까이 늘었지만 마이너스를 면하지는 못했다. 

 

헌법재판소 현직 재판관 평균 재산 16억원... 강일원 재판관 27억원으로 1위

지난 1월 퇴임한 박한철 전 헌법재판소 소장과 지난 13일 퇴임한 이정미 전 헌재소장 권한대행을 제외한 7명의 현직 헌재 재판관들의 평균 재산은 16억 1천961만원으로 나타났다.

강일원 재판관이 27억 4천358만원을 신고해 27억 4천301만원을 신고한 조용호 재판관을 근소한 차이로 따돌리고 1위에 올랐다.

헌재 재판관 가운데 가장 '가난한' 재판관은 이진성 재판관으로 9억 5천304만원을 신고, 헌재 재판관 중 유일하게 신고 재산이 10억원이 안됐다.

 

우병우 전 민정수석 392억원...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 15억 8천만원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등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지난 10월 퇴직한 이들은 이번 재산공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현직에 있는 고위공직자가 이번 재산공개 대상이기 때문이다.

퇴직한 고위공무원은 퇴직일로부터 3개월 이후 관보를 통해 재산신고 내용을 공개하도록 돼 있다. 이에 따라 우 전 수석 등은 지난 1월 25일 관보를 통해 퇴직자 재산공개 형식으로 공개됐다.

우 전 수석의 재산은 392억 6천87만원으로 나타났다. 부부 명의 예금 155억원, 채권 156억원, 아파트와 빌딩 등 건물 71억 9천만원 등이다. 의경 '꽃보직' 의혹이 제기된 우 전 수석의 아들은 4천250만원짜리 신라호텔 헬스 회원권을 새로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 전 수석은 부모의 재산 신고 고지는 거부했다.

안종범 전 수석의 경우 이전보다 1억 3천만원 줄어든 15억 8천만원을 신고했다. 장녀가 결혼하면서 재산신고 등록 대상에서 빠진 것이 감소 사유였다.

저작권자 © 법률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